Cloud Search 관리
사전 준비
콘솔에 접속합니다.
최초 접근 시에는 좌측 메뉴에 Cloud Search 메뉴가 없습니다. Products & Services 메뉴의 Analytics 하위에 있는 Cloud Search를 선택하여 해당 서비스 화면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. 별 모양 아이콘을 클릭하여 My Products 하위로 북마크하면 나중에 조회하기 간편합니다.
도메인 생성
- Cloud Search에 처음 들어갔을 때의 화면입니다. 위쪽의 도메인 생성 버튼을 클릭하면 도메인 생성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기본정보 입력
- 도메인 이름을 입력합니다. 알파벳, 언더바(_)로만 시작해야 하며, 3~20자까지의 알파벳, 숫자, 언더바(_)만 입력 가능합니다.
- 도메인에 대한 설명을 입력합니다.
- 컨테이너 타입을 선택합니다.
- Standard - 4: 메모리 4GB / 스토리지 30GB / 권장 최대 문서 수 100만 개 / 권장 색인 2개
- Standard - 8: 메모리 8GB / 스토리지 50GB / 권장 최대 문서 수 200만 개 / 권장 색인 3개
- Standard - 16: 메모리 16GB / 스토리지 100GB / 권장 최대 문서 수 400만 개 / 권장 색인 4개
- Standard - 32: 메모리 32GB / 스토리지 200GB / 권장 최대 문서 수 800만 개 / 권장 색인 5개
- High Memory - 64: 메모리 64GB / 스토리지 400GB / 권장 최대 문서 수 1600만 개 / 권장 색인 6개
- High Memory - 128: 메모리 128GB / 스토리지 800GB / 권장 최대 문서 수 3200만 개 / 권장 색인 7개
- 컨테이너 수를 조절합니다. 검색용 컨테이너 수만 조절할 수 있으며 범위는 모든 도메인을 합쳐 10개까지 가능합니다.
- Production 레벨에서는 검색용 컨테이너의 수로 2개 이상을 권장합니다.
- 불러오기 항목은 선택안함 그대로 진행합니다.
- 자동차검색 예제나 기존에 만들어진 도메인의 섹션과 색인정보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.
- [다음] 버튼을 클릭하여 섹션 설정으로 넘어갑니다.
섹션 설정
섹션은 문서를 구성하는 각 항목들을 의미하며 데이터베이스의 칼럼과 유사합니다. key가 되는 섹션 1개를 메인섹션으로 설정해야 합니다.
- 섹션이름을 설정합니다. 알파벳, 숫자, 언더바(_)만 입력 가능합니다.
- 섹션의 데이터타입을 설정합니다.
-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섹션을 추가합니다.
- 메인섹션을 선택합니다.
- 섹션을 모두 설정한 뒤에 [다음] 버튼을 클릭하여 색인 설정으로 넘어갑니다.
색인 설정
효율적인 검색을 위해 검색 목적에 따라 섹션을 선택해서 색인을 생성하세요. 하나의 인덱스에 여러 개의 섹션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
-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색인 추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- 색인을 모두 설정한 뒤에 다음 버튼을 클릭하여 최종 확인으로 넘어갑니다.
색인 추가
- 색인 이름을 설정합니다. 알파벳, 숫자, 언더바(_)만 입력 가능합니다.
- 색인에 포함할 섹션의 이름을 선택합니다.
- 선택한 섹션의 분석기 - 언어를 선택합니다.
- 선택한 섹션의 문서 가중치(0 ~ 100%)를 설정합니다.
-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추가됩니다.
- 색인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색인이 추가됩니다.
최종확인
- 최종 확인 후에 [생성] 버튼을 클릭하면 안내모달과 함께 잠시 뒤에 도메인이 생성됩니다.
- 임시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이후에 입력한 정보로 다시 생성할 수 있습니다.
- 계정당 사용 중인 메모리의 합이 512GB 이하일 때, 생성이 가능합니다.
도메인 - 대시보드
도메인 메뉴에서는 도메인 리스트, 컨테이너와 서비스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생성된 도메인을 선택합니다.
- 도메인 수정 버튼을 클릭하면 도메인 수정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- 도메인 삭제 버튼을 클릭하면 도메인 삭제가 됩니다.
- 색인 설정 버튼을 클릭하면 색인과 관련된 설정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- 검색 설정 버튼을 클릭하면 검색과 관련된 설정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- 컨테이너 타입은 수정 버튼을 클릭하여 현재보다 상위 타입의 컨테이너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.
- 검색용 컨테이너는 수정 버튼을 클릭하여 개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.
- 계정당 사용 중인 메모리의 합이 512GB 이하일 때, 생성이 가능합니다.
- 서비스 사용량 제한은 수정 버튼을 클릭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.
도메인 수정
도메인 수정 페이지에서는 도메인 이름과 설명을 바꿀 수 있습니다.
사용량 제한
사용량 제한에서는 일별 혹은 월별로 사용량을 제한 할 수 있습니다.
- 사용량 제한 항목을 활성화합니다.
- 일별 혹은 월별 제한한도를 설정합니다.
- 0을 입력한 경우에는 제한이 비활성화 됩니다.
도메인 관리
도메인 관리 메뉴에서는 문서 관리와 도메인 설정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.
- 문서 업로드 메뉴를 클릭하면 문서 업로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- 검색 가능한 문서 수 확인 메뉴를 클릭하면 현재 검색 가능한 문서 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자동완성 색인갱신 메뉴를 클릭하면 변경된 섹션, 색인과 문서 정보로 색인을 갱신합니다.
- 도메인 설정 수정은 도메인 메뉴의 정보 수정 버튼과 동일하게 동작합니다.
문서 업로드
문서 업로드에서는 문서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.
- 파일 업로드 혹은 오브젝트 스토리지에서 업로드 중에서 방식을 선택합니다.
- 파일 업로드를 선택한 경우 다음으로 넘어 갑니다.
- 오브젝트 스토리지에서 업로드를 선택한 경우 리전을 선택합니다.
- 버킷을 선택하고 다음으로 진행합니다.
파일 업로드
파일 업로드에서는 작은 크기의 문서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.
- 업로드할 파일을 마우스로 끌어다 놓거나 사각형을 클릭한 후 업로드할 파일을 선택합니다. JSON 형식의 파일만 업로드할 수 있으며 파일 내용은 Indexer 문서에 있는 요청 형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성합니다.
- 파일을 선택한 뒤에 [업로드] 버튼을 클릭하면 문서 파일이 업로드됩니다.
오브젝트 스토리지에서 업로드
오브젝트 스토리지에서 최대 100MB 크기의 문서를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.
- 업로드할 오브젝트를 선택합니다.
- [업로드] 버튼을 클릭하면 선택한 오브젝트로 업로드 요청을 합니다.
- 오브젝트 업로드 결과는 알림으로 받으실 수 있습니다.
색인설정 - 섹션
섹션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 기존의 섹션은 삭제가 불가능합니다.
- 초기화 버튼을 클릭하면 새로 입력한 섹션을 삭제합니다.
-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자동완성 대상과 새로 입력한 섹션을 저장합니다. 이후에는 삭제가 불가능합니다.
색인설정 - 색인
색인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 기존의 색인은 삭제가 불가능합니다.
- 초기화 버튼을 클릭하면 새로 입력한 색인을 삭제합니다.
-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자동완성 대상과 새로 입력한 색인을 저장합니다. 이후에는 삭제가 불가능합니다.
검색설정 - 검색 테스트
검색 테스트에서는 간단하게 검색 쿼리를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.
- 검색조건 박스를 클릭하여 조건을 설정합니다.
- 검색어를 입력한 후 검색 버튼을 클릭합니다.
- 결과가 나타납니다.
- 자세히보기 버튼을 클릭하여 JSON 형식의 결과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초기화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과 검색어가 초기화됩니다.
직접입력으로 테스트
검색쿼리를 직접 입력하여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.
- 테스트할 검색 쿼리를 작성합니다. 쿼리 작성은 Search Query를 참고하세요.
- 검색 쿼리를 작성한 후 검색 버튼을 클릭합니다.
- 결과가 나타납니다.
- 지난이력 불러오기 버튼을 클릭하면 이전에 검색했던 쿼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랭킹 수식
문서 가중치와 문서 속성을 표현식으로 랭킹 변수를 설정하고 검색 결과 정렬 옵션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- 랭킹 모듈을 선택합니다.
- 도메인 생성시 자동으로 생성된 기본랭킹 설정을 확인합니다.
- 기본 랭킹으로 설정된 모듈은 삭제할 수 없습니다.
- 랭킹변수를 추가하여 도메인에 최적화된 랭킹 모듈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
- 결과화면에서 랭킹 가중치 보기 를 선택합니다.
- 문서 가중치와 랭킹 변수로 계산된 값을 비교하여 정렬옵션으로 지정합니다.
검색설정 - 자동완성
자동완성에서는 검색어 자동완성을 설정하고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.
- 자동완성 대상설정 버튼을 클릭하여 대상 섹션과 대상 색인을 선택합니다.
- 자동완성 타입을 설정합니다.
- 테스트할 검색어를 입력하면 결과가 나타납니다.
검색설정 - 불용어
불용어에서는 검색어에서 제외할 단어 규칙을 만들 수 있습니다.
-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규칙 정보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- 규칙을 선택하면 단어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규칙을 선택하고 [수정] 버튼을 클릭하면 규칙 정보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- 규칙을 선택하고 [삭제] 버튼을 클릭하면 규칙이 삭제됩니다.
규칙 정보
규칙 정보에서는 규칙을 추가하거나 정보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.
- 규칙 이름을 설정합니다. 알파벳, 숫자, 언더바(_)만 입력 가능합니다.
- 수정화면에서는 규칙 이름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.
- 규칙 타입을 설정합니다.
- 대소문자 구별 여부를 설정합니다.
- 단어들을 설정합니다.
-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규칙 정보가 저장됩니다.
동의어 사전
동의어 사전은 도메인당 하나의 사전만 설정할 수 있습니다.
- 설정 버튼을 클릭하면 동의어 사전 설정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동의어 사전 설정
- 사전 이름을 설정합니다. 알파벳, 숫자, 언더바(_)만 입력 가능합니다.
- 이후에 이름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.
- 설명을 입력합니다.
- 단어목록을 입력합니다.
- 콤마(,) 혹은 스페이스로 구분하여 동의어를 입력합니다.
- 단어는 줄바꿈으로 구분합니다.
- 사전 버전을 입력합니다.
- 사전 업데이트는 버전을 추가하여 수정할 수 있습니다.
동의어 사전 색인 추가
색인설정 > 색인 으로 이동하여 설정한 동의어 사전으로 색인을 추가합니다.
- 분석기(동의어사전) 을 선택합니다.
- 대상 섹션과 분석기 및 문서 가중치를 입력하고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.
- 색인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색인을 추가합니다.
동의어 검색 테스트
검색설정 > 검색테스트 로 이동하여 동의어 사전을 테스트 합니다.
- 추가한 색인명을 입력합니다.
- 동의어 사전을 사용하도록 설정합니다.
- 결과를 확인합니다.
모니터링
왼쪽 메뉴의 Cloud Search > Monitoring을 클릭하면 모니터링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 Monitoring 데이터는 최근 3개월만 조회가 가능하고 출력에는 5~10분 정도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1분, 5분 간격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최대 1주일의 기간만 설정할 수 있습니다.
- Indexer 요청 건수: 해당 시간에 업로드하여 색인 요청한 건수를 나타냅니다.
- 검색응답 사이즈: 검색 API의 응답된 네트워크 사이즈를 의미합니다.
- NAS 사용량: 문서가 저장된 NAS의 사용량을 나타냅니다.
- Memory 사용량: 컨테이너의 Memory 사용량을 나타냅니다.
- Reindex 문서 크기: 색인 변경, 섹션 변경이 일어났을 때 해당 시점에 있었던 문서의 크기를 나타냅니다.
- 자동완성 갱신: 해당 시간에 자동완성 갱신 건 수를 나타냅니다.
검색어 분석
왼쪽 메뉴의 Cloud Search > Query Analysis 를 클릭하면 검색어 분석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 지역별 검색어 데이터는 검색 시 IP 정보가 제공되어야 조회할 수 있습니다.
- 검색어 순위: 해당 기간동안 가장 검색량이 많은 순서대로 보여줍니다.
- 상위 검색어 트렌드: 해당 기간동안 검색량이 많은 검색어들의 추이를 보여줍니다.
- 지역별 검색량: 지역별로 검색량이 많은 순서대로 보여줍니다.
- 지역별 검색어: 지역별로 검색어의 비율을 보여줍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