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용하기 전에
Q. 서버 사양은 어떤가요?
-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서버 타입은 아래와 같습니다. (요금은 상품 안내 페이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)
서버 타입 | CPU | 메모리 | 디스크 | 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Standard | 1 vCPU | 2 GB | 50 GB | ||||||||
2 vCPU | 2 GB | 50 GB | |||||||||
2 vCPU | 4 GB | 50 GB | |||||||||
4 vCPU | 4 GB | 50 GB | |||||||||
4 vCPU | 8 GB | 50 GB | |||||||||
8 vCPU | 8 GB | 50 GB | |||||||||
8 vCPU | 16 GB | 50 GB | |||||||||
12 vCPU | 16 GB | 50 GB | |||||||||
16 vCPU | 16 GB | 50 GB | |||||||||
High Memory | 2 vCPU | 8 GB | 50 GB | ||||||||
2 vCPU | 16 GB | 50 GB | |||||||||
4 vCPU | 16 GB | 50 GB | |||||||||
4 vCPU | 32 GB | 50 GB | |||||||||
8 vCPU | 32 GB | 50 GB | |||||||||
12 vCPU | 32 GB | 50 GB | |||||||||
16 vCPU | 32 GB | 50 GB | |||||||||
서버 타입 | CPU | 메모리 | 디스크 | ||||||||
OS 영역 | 데이터 영역 | Local Disk | 2 vCPU | 4 GB | 50 GB | 50 GB(별도 과금) | |||||
4 vCPU | 8 GB | 50 GB | 150 GB(별도 과금) | ||||||||
8 vCPU | 16 GB | 50 GB | 350 GB(별도 과금) | ||||||||
12 vCPU | 32 GB | 50 GB | 750 GB(별도 과금) | ||||||||
16 vCPU | 32 GB | 50 GB | 750 GB(별도 과금) |
Q. 서버 OS에는 무엇이 있나요?
구분 | OS |
---|---|
CentOS | - CentOS 5.11 (64-bit) - CentOS 6.3 (32-bit), CentOS 6.3 (64-bit) - CentOS 6.6 (64-bit) |
Windows | - Windows Server 2008 R2 Enterprise with SP1 (64-bit) - Windows Server 2012 R2 Standard (64-bit) - MSSQL Server 2008 R2 Standard (64-bit) |
Ubuntu | - Ubuntu 12.04 Server (64-bit), Ubuntu 12.04 Desktop (64-bit) - Ubuntu 14.04 Server (64-bit) |
- 유료 상품을 구매하신다면, CentOS, Ubuntu 서버 이미지는 무료이며, Windows 서버 이미지는 유료로 구매하셔야 합니다.
Q. OS별 선택 가능한 서버 사양은 아래와 같습니다.
구분 | 16GB MEM 이하 서버 | 32GB MEM 서버 | ||
---|---|---|---|---|
Linux | CentOS 5.11 | 64-bit | O | |
CentOS 6.3 | 32-bit | O | ||
64-bit | O | O | ||
CentOS 6.6 | 64-bit | O | O | |
Ubuntu Server 12.04 | 64-bit | O | O | |
Ubuntu Desktop 12.04 | 64-bit | O | ||
Ubuntu Server 14.04 | 64-bit | O | O | |
Windows | Windows 2008 Server R2 | 64-bit | O | O |
Windows 2012 Server R2 | 64-bit | O | O | |
Windows 2008 Server R2 with MSSQL Standard | 64-bit | O | O |
Q. 서버는 어떻게 생성하나요?
- 프로모션이 있을 경우, Npac(무료) 또는 유료 상품 구매(유료) 프로모션을 선택한 후 원하는 사양의 서버를 생성하고 필요에 따라 스토리지를 추가하면 됩니다.
- 유료 상품은 월요금제와 시간 요금제로 청구되며, 서버 외에 스토리지, 서버 이미지, 로드밸런서, 공인 IP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.
Q. 서버 생성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?
- 콘솔에 접속한 후 다음의 단계를 통해 쉽게 서버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.
- 콘솔 접속 :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관리 콘솔에 접속합니다.
- 서버 이미지 선택 : CentOS와 Windows, Ubuntu 중에 선택하여 서버에 설치할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- 서버 설정: 생성할 서버의 이름을 정합니다.
- 인증키 설정: 기존 인증키가 없다면 인증키를 발급받아 안전한 위치에 저장합니다. 인증키는 관리자 비밀번호 확인 등에 사용됩니다.
- 최종 확인: 서버 이미지, 서버 타입과 이름, 인증키 설정 내역을 최종 확인하고 서버를 생성합니다.
Q. 로컬 디스크 서버의 경우 아래 사항을 참고해주세요.
- 서버가 구동되는 물리 장비의 Local Disk를 이용하여 Network Disk보다 높은 I/O 성능을 가집니다.
- 로컬 디스크 추가 및 서버 스펙 변경이 불가능하며, 내 서버 이미지로부터 서버생성 시에도 원본서버와 동일 스펙으로만 생성이 가능합니다.
- HW 장애 시 데이터 복구가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중요한 데이터를 다루는 경우에는, 데이터 내구성이 높은 Network Disk 사용과 이중화 구성을 권고드립니다.
- 정기적인 데이터 백업을 통해서 중요한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하셔야 합니다.
Q. MS-SQL 라이선스를 직접 구매하여 보유하고 있습니다.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서버에 설치하여 사용해도 되나요??
특정 소프트웨어의 라이선스 조건은 공급 업체마다 다릅니다. 따라서 MS-SQL 라이선스에 대한 설치 및 사용 여부는 마이크로소프트(MS) 측에 확인 후 사용하시길 권고드립니다.
참고사항 : 본인이 보유한 MS-SQL 라이선스라도 일반 클라우드 서버 위에 설치하여 운영하는 것은 인정되지 않습니다.(2016. 9 기준)
서버 생성
Step 1. 콘솔 접속
콘솔에 접속하세요.
① 생성한 서버가 없으므로 다음과 같은 문구가 표시됩니다.
- 보유중인 서버가 없습니다.
아래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운 서버를 생성하세요.
② 서버를 생성하려면 [서버 생성] 버튼을 클릭하세요.
Step 2. 서버 이미지 선택
서버 이미지를 선택하세요.
① [이미지]에서 서버에 설치할 이미지를 선택하세요.
- 이미지는 Windows와 CentOS, Ubuntu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.
② 목록에서 서버 이미지를 선택하세요.
③ [다음] 버튼을 클릭하세요.
Step 3. 서버 설정
서버 타입, 요금제, Zone을 선택하고, 서버 이름을 입력합니다.
① 원하는 서버타입을 선택합니다.
② 요금제는 월요금제 또는 시간 요금제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.
③ 서버 이름을 입력하세요.
- 고객이 서버를 구별하기 위한 명칭으로, 중복해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.
④ [다음] 버튼을 클릭하세요
Step 4. 인증키 설정
새로운 인증키를 생성하세요.
기존에 생성한 서버가 없으므로 새로운 인증키를 생성합니다.
① 새로운 인증키 생성을 선택하세요.
② 인증키 이름을 입력하세요.
③ [생성 및 다운로드] 버튼을 클릭하세요.
- 새로운 인증키를 발급받습니다.
- 저장 후 인증키는 고객의 PC 안전한 위치에 보관해주세요.
- 인증키는 최초의 관리자 비밀번호를 가져올 때 이용됩니다.
④ [다음] 버튼을 클릭하세요.
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인증키가 있다면 ‘보유하고 있는 인증키 이용’을 선택합니다.
Step 5. 최종 확인
설정한 내용을 최종 확인하세요.
① 서버 이미지, 서버, 인증키가 정상적으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합니다.
② 최종 확인 후에는 [서버 생성] 버튼을 클릭하세요.
- 서버가 생성되기까지는 수분이 소요됩니다.
Step 6. 서버 목록에서 확인
생성한 서버를 리스트에서 확인하세요.
① 생성한 서버가 목록에 표시됩니다.
- 상태가 ‘부팅중’에서 ‘운영중’으로 변경됩니다.
- 잠깐!
Platform 2.0에는 더욱 다양한 기능이 제공됩니다.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포털에서 Platform 2.0으로 전환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
- 포털 우측 상단에서 [Platform 2.0] 선택
- 안내 팝업창에서 [확인] 클릭
Platform 1.0 vs Platform 2.0 비교
구분 | Server(1.0) | Server(2.0) |
---|---|---|
Zone | - | Multi-Zone으로 인프라 제공
|
로드밸런서 | Virtual IP 방식으로 로드밸런서 이용 |
|
방화벽 기능 | - | ACG 기능 제공 |
부록. 유사 서버 생성하기
사용하기 전에
Q. 유사 서버 생성이란 무엇인가요?
- 현재 사용중인 서버와 서버 이미지, 서버 타입(CPU, Memory), 요금제, 인증키가 동일한 유형의 서버를 쉽게 생성할 수 있으며, 동일한 스펙의 서버를 여러 대 생성할 때 편리합니다.
- 원본 서버의 데이터를 복제하지 않기 때문에, 운영중인 상태에서 유사 서버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.
유사 서버 생성
Step 1. 유사 서버 생성
서버 관리 및 설정 변경에서 [유사 서버 생성]을 선택합니다.
① 유사 서버를 생성할 서버를 선택하고, 서버 관리 및 설정 변경에서 [유사 서버 생성]을 선택합니다.
Step 2. 서버 이름 입력
유사 서버 이름을 입력하세요.
① 생성할 유사 서버 이름을 입력합니다.
② [다음] 버튼을 클릭합니다.
Step 3. 설정 내용 확인
원본 서버와 동일한 설정 내용을 확인하세요.
① 원본 서버와 동일하게 설정한 내용을 확인합니다.
- 유사 서버 생성에서 설정 내용 확인 시, 각 항목의 편집기능은 없습니다.
② [서버 생성] 버튼을 클릭합니다.
③ 수 분~ 수십 분이 소요됨을 확인한 후, [확인] 버튼을 클릭합니다.
Step 4. 서버 목록에서 확인
유사 서버가 생성된 것을 서버 목록에서 확인하세요.
① 서버 목록에서 원본 서버와 동일하게 서버 타입, 요금제, 인증키로 설정한 유사 서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