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용하기 전에
Q. 스토리지는 얼마나 추가할 수 있나요?
- 스토리지는 최대 1000GB를 지원하며, 서버 1대당 최대 16개의 스토리지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Q. 스토리지는 어떻게 추가하나요?
- 서버에서 ‘스토리지 추가’ 메뉴를 이용하여 추가할 수 있습니다.
스토리지 메뉴에서도 스토리지 추가는 가능합니다.
Q. 추가한 스토리지는 바로 사용할 수 있나요?
- 서버에 추가된 스토리지는 바로 사용이 가능합니다. 서버에 관리자 계정으로 접속하여 디스크 파티션, 포맷, 마운트 등을 수행하여 사용합니다.
Q. 스토리지는 어떻게 마운트하나요?
- OS별 마운트 방법은 다릅니다. 상세 내용은 스토리지 추가 가이드 > Linux / Windows / Ubuntu Server, Desktop을 참고합니다.
Q. 추가한 스토리지를 어떻게 삭제할 수 있나요?
- 스토리지를 선택하고 '스토리지 삭제' 기능을 이용하면 삭제할 수 있습니다. 단, 스토리지가 마운트된 상태에서는 스토리지를 삭제할 수 없으므로 마운트를 먼저 해제하시기 바랍니다.
스토리지 추가하기
Step 1. 콘솔 접속 및 서버 선택
콘솔에 접속하고, 스토리지를 추가할 서버를 선택합니다.
- 서버에서 기본 스토리지 외에 스토리지를 추가하는 방법입니다.
① 서버 및 스토리지에서 [서버] 메뉴를 선택합니다.
② 서버 목록에서 스토리지를 추가할 서버를 선택합니다.
- 서버가 없으면 먼저 서버를 생성합니다. 서버 생성방법은 ‘서버 생성 가이드’를 참고합니다.
③ ‘서버 관리 및 설정 변경’ 메뉴에서 [스토리지 추가]를 클릭합니다.
Step 2. (무료) 프로모션 선택 (1/2)
프로모션을 선택합니다.
① 스토리지를 생성하는 데 이용할 프로모션을 선택합니다.
② [적용] 버튼을 클릭합니다.
Step 2. (유료) 프로모션 선택 (2/2)
프로모션을 선택합니다.
① 스토리지를 생성하는 데 이용할 프로모션을 선택합니다.
② [유료 상품 구매] 버튼을 클릭합니다.
Step 3. 스토리지 이름 및 크기 선택
추가할 스토리지의 이름, 크기를 입력합니다.
① 스토리지 종류를 선택합니다.
② 스토리지 이름을 입력합니다.
③ 스토리지 크기를 입력합니다. 스토리지 크기는 최소 10GB이며, 10의 배수로 입력 가능합니다.
④ [추가] 버튼을 클릭합니다.
⑤ 추가할 스토리지 이름과 적용 서버, 크기를 확인하고 [확인] 버튼을 클릭합니다.
Step 04. 추가된 스토리지 확인
서버 목록에서 추가된 스토리지를 확인합니다.
① 서버 목록에서 스토리지를 추가한 서버를 선택하면, 아래에 스토리지 추가 내용이 표시됩니다.
② 스토리지 목록에서도 추가된 스토리지 정보와 할당된 서버 연결정보가 표시됩니다.
스토리지 마운트하기 (Linux)
Step 1. 스토리지 상태 확인 및 추가
스토리지를 추가합니다.
① 스토리지를 할당하기 전에 fdisk –l 명령으로 디스크를 조회한 화면입니다.
- 현재 /dev/xvda1 디스크가 추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② 스토리지를 할당한 후 fdisk –l 명령으로 스토리지가 추가된 것을 확인합니다.
- /dev/xvdb 디스크가 추가되었으나, 해당 디스크에 파티션이 생성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Step 2. 디스크 파티션
디스크 파티션을 수행합니다.
③ fdisk 명령을 사용하여 /dev/xvdb에 디스크 파티션을 수행합니다. 참고로 파티션을 수행하려는 disk 이름은 관리 콘솔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a. 파티션을 새로 생성하기 위해 ‘n’을 누릅니다.
- b. 생성할 파티션 타입에 따라 primary type이면 ‘p’, extened type이면 ‘e’를 누릅니다. (primary type으로 생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며, primary 영역의 파티션이 부족할 경우 추가로 extended type으로 생성합니다)
- c. 생성할 파티션 번호와 cylinder 영역을 입력합니다. (만일 추가할 disk를 전체로 mount하고자 할 경우 default값을 그대로 사용합니다.)
- d. ‘w’를 눌러서 해당 구성을 적용합니다. 파티션 생성이 완료되었습니다.
Step 3. 스토리지 포맷
스토리지를 포맷 합니다.
④ fdisk –l 명령으로 스토리지가 정상적으로 파티션된 것을 확인합니다.
⑤ 파티션된 스토리지를 포맷합니다.
서버 이미지에 따라 포맷 명령어가 다릅니다.
- CentOS 5.x: mkfs.ext3 /dev/xvdb1
- CentOS 6.x: mkfs.ext4 /dev/xvdb1
- Ubuntu Server / Desktop: mkfs.ext4 /dev/xvdb1
Step 4. 스토리지 마운트
스토리지를 마운트 합니다.
⑥ 마운트 포인트를 생성하고 스토리지를 마운트합니다. 여기서는 /mnt/a에 /dev/xvdb1 마운트합니다.
⑦ 정상적으로 마운트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‘df –k’ 명령어를 수행합니다. /dev/xvdb1가 /mnt/a에 마운트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⑧ 서버 부팅 후에도 마운트 정보를 유지하려면 화면과 같이 /etc/fstab에 그 정보를 저장해야 합니다.
추가된 스토리지를 볼륨으로 등록하기 (Windows)
Step 1. 디스크 관리
볼륨으로 등록하기 위해 먼저 디스크 관리자 창을 엽니다.
- Window 시스템은 원격 데스크톱을 이용해서 접속할 수 있습니다. 자세한 접속 방법은 ‘윈도우 서버 접속 가이드’를 참고합니다.
① Window 서버에 접속 후 [시작]-관리도구-컴퓨터 관리를 실행합니다.
② 컴퓨터 관리 창의의 좌측 콘솔 트리 프레임 안의 저장소 메뉴 속 디스크 관리를 선택합니다.
Step 2. 디스크 초기화
우선 추가된 스토리지(디스크)를 초기화합니다.
③ 디스크 관리 메뉴를 선택하면 바로 자동으로 디스크 초기화 대화 상자가 뜰 수 있습니다. 좌측 상단 그림과 같이 추가할 디스크를 체크하고 파티션 형식을 MBR로 선택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.
④ 바로 디스크 초기화 대화 상자가 뜨지 않았다면, 좌측 하단 그림과 같이 디스크 1이라는 상자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“디스크 초기화“ 메뉴를 선택하여 상자를 열 수 있습니다.
Step 3. 볼륨 만들기 마법사
디스크 관리에서 할당되지 않은 디스크를 선택합니다.
- 볼륨 만들기 마법사는 기본(디폴트)값으로 설정 내용을 가이드합니다.
⑤ 그림과 같이 디스크 1 상자 오른편의 “할당 되지 않음”이라고 텍스트가 쓰인 상자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메뉴를 선택합니다. 이 설명에서는 “새 단순 볼륨"이라는 메뉴를 선택합니다.
‘볼륨 만들기 마법사’에서 볼륨 종류를 선택합니다.
⑥ 볼륨 만들기 마법사가 시작되면 [다음] 버튼을 클릭합니다.
⑦ 볼륨 크기를 확인하고 [다음] 버튼을 클릭합니다.
디스크 크기와 문자를 선택합니다.
⑧ 드라이브 문자를 할당하고 [다음] 버튼을 클릭합니다.
⑨ 포맷을 설정하고 [다음] 버튼을 클릭합니다.
- 빠른 포맷 실행을 체크하면 소요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.
디스크 포맷하고, 설정 내용을 확인하고 볼륨 만들기를 완료합니다.
⑩ 설정 내용을 확인하고 [마침] 버튼을 클릭합니다.
Step 4. 포맷 및 확인
포맷 후 드라이브를 확인합니다.
⑪ 포맷이 완료되고 ‘정상’ 문구가 표시됩니다.
⑫ 설정한 드라이브에 디스크가 할당되었는지 확인하려면 [시작] 메뉴에서 [컴퓨터]를 선택하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확인합니다.